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1)
AWS 자습 노트 - 6. Simple Storage Service(S3) 기본 동작 들어가며 Cloud Service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Virtual Machine이고 다른 하나가 Storage Service이다.(AWS에서는 이 두 가지 서비스를 가장 먼저 Launching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Storage Service인 S3에 관한 내용이다. S3는 Object 기반의 저장소이며, 이로 인해 용량 확장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무제한으로 확장 가능) 1. 나만의 Bucket 만들기 AWS Management Console에 접속한 뒤 '서비스' > 'Storage' > 'S3'로 진입하면 과 같이 Bucket 진입 화면이 나오고, 상단에 있는 '버킷 만들기'를 Click하면 와 같은 버킷 이름과 버킷을 생성할 리전(S3는 리전 단위로 생성된다..
AWS 자습 노트 - 5. RDS 를 이용하는 웹어플리케이션 구성 이번 Posting에서는 "Spring Boot + JPA/Hibernate + Liquibase Project 구성"에서 정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AWS RDS Service를 이용하는 하는 Spring Boot Project를 구성해본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Project 수정 및 결과 이전 Post에서 만들었던 Project에서 application.yml 파일의 DB Connection URL 부분만 수정하면 된다. 이 부분에 "AWS 활용하기 - 4. RDS Instance 생성 및 확인"에서 만들었던 RDS의 Endpoint를 입력하면 된다. (아래 참고) application.yml ... #Database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post..
PostgreSQL Log로 DB 성능 분석 (feat. pgBadger) PostgreSQL의 장점 중에 하나는 나름대로의 Open Source 생태계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어떤 기능이 하나 아쉬울 떄 검색만 잘하면 원하던 기능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pgBadger도 그런 다양한 Tool중에 하나로 PostgreSQL에서 생성하는 Log를 분석해 Performance Report(html 형식)를 만들어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공식 페이지에서 샘플로 제공한 결과물은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시면 된다. pgBadger pgBadger와 관련된 주요 Site의 URL은 아래와 같으니 목적에 따라 방문하면 된다. http://pgbadger.darold.net : Official Page. 특징, License, Example 정보 등 제공 https..
Spring Boot + JPA/Hibernate + Liquibase Project 구성 (feat. PostgreSQL) 나이가 들어가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이 느껴져서 Spring 프로젝트의 많은 Property들 중 자주 사용하는 것 위주로 내용을 한 번 정리하고자 포스팅을 쓴다 개발 환경 OpenJDK v1.8.0_212 Spring Boot 2.1.4 (Hibernate 5.3.9, HikariCP 3.2) liquibase 3.6.3 lombok-1.18.16 PostgreSQL 11 (Postgresql JDBC Driver : postgresql-42.2.5) Gradle build.gradle Spring Initializer를 통해 jpa, liquibase, postgresql을 Dependencies로 설정해서 Gardle Project를 생성했다. (이 화면에는 없지만 lombok도 dependanc..
AWS 자습 노트 - 4. RDS Instance 생성 및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DB 서비스인 RDS를 이용해 DB를 생성하려고 한다. 먼저 AWS Management Portal에 로그인 한 후에 Database > RDS로 진입하면 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이 화면 상단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누르면 어떤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지 선택하는 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DB Engine은 Amazon Aurora,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DB, MS SQL Server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DB에 따라 License 비용이 다르다. 프리 티어 사용자를 위해 필터링을 할 수 있는 Check-Box가 중간에 있는데 이걸 선택하면 Amazon Aurora를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을..
PostgreSQL Log 설정 - 2 지난 PostgreSQL Log 설정 포스팅에 이은 다음편이다. 이래저래 정신이 없다 보니 무려 5개월 만에 같은 주제의 포스팅을 마무리하는 상황이다. 5월 들어 조금 짬이 나서 어떻게든 마무리를 짓겠다 마음 먹어서, 그나마 마무리 하는 상황이다. When to Log 'Where to Log' Sub-Section다음에 이어지는 Sub-Section이다. 여기서 말하는 'WHEN'은 현재 동작하는 PostgreSQL이 Log를 남기는 조건을 나타낸다. 설정 사항이 3가지 밖에 없고 그 중에서 log_min_duration_statement만 자주 설정을 변경할 여지가 있다. log_min_messages, log_min_messages_statement ; log_min_messages는 어떤 Leve..
AWS 자습 노트 - 3. 가상머신 EC2 Service Instance 생성 및 활용 (2) 이전 포스팅에 이어 AWS EC2 활용을 이어서 정리하려고 한다. 궁극적으로 간단한 LAMP(Linux-Apche HTTP 서버-MySQL-PHP) 구조와 비슷하게 Linux에 NGINX 서버를 올리고 PostgreSQL을 활용하는 Spring Boot로 만들어진 Web Application Server를 연결해서 간단한 WEB Server를 AWS에 올리려고 하는 것이 목표로 이 포스팅을 이어나가려고 한다. WEB Server를 포함한 Linux 가상머신 만들기 EC2 Instance를 만들기를 선택하고 Step 1에서 RedHat Linux 머신을 선택하고, Step 2에서 t2.micro를 선택하는 것 까지는 동일하나 Step 3에서 페이지 제일 하단에 있는 Advanced Detail에 User ..
AWS 자습 노트 - 2. 가상머신 EC2 Service Instance 생성 및 활용 (1) About AWS EC2AWS에서 가장 최초로 제공했던 2개의 서비스 중 1개이며(다른 하나는 S3 ; Simple Storage Service) 가상 Computing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Posting과 다음 Posting에 걸쳐 EC2 Instance를 생성해서 WEB Server와 Application Server를 구성하는 실습을 정리하려고 한다.Create WEB Application Example필자는 Spring Boot (v2.1.4) + Gradle 조합으로 Project를 하나 생성했고 Gradle Build를 통해 만들어지는 jar 파일을 실행시켜 WEB Application을 구성하였다. WEB Application은 아래의 Controller Code를 추가하여 Root P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