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 (5)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 Image Customization (NGINX Docker image 가지고 놀기) 지난 포스팅에 이어 NGINX docker image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Customization 하는 과정을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사용한 HW는 2대이며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HW1 Hostname : browndwarf01 IP Address : 16.8.35.228 Descrption : NGINX Docker image를 통해 NGINX 실행. HW2 Hostname : browndwarf02 IP Address : 16.8.35.227 Description : WEB Service 실행 후 8080 port로 expose. 1. Docker Volumn Mount NGINX를 설치하면 /usr/share/nginx/html에 기본 web page를 위한 Resource들이 위치되어 있.. PostgreSQL Log로 DB 성능 분석 (feat. pgBadger) PostgreSQL의 장점 중에 하나는 나름대로의 Open Source 생태계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어떤 기능이 하나 아쉬울 떄 검색만 잘하면 원하던 기능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pgBadger도 그런 다양한 Tool중에 하나로 PostgreSQL에서 생성하는 Log를 분석해 Performance Report(html 형식)를 만들어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공식 페이지에서 샘플로 제공한 결과물은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시면 된다. pgBadger pgBadger와 관련된 주요 Site의 URL은 아래와 같으니 목적에 따라 방문하면 된다. http://pgbadger.darold.net : Official Page. 특징, License, Example 정보 등 제공 https.. PostgreSQL Log 설정 - 2 지난 PostgreSQL Log 설정 포스팅에 이은 다음편이다. 이래저래 정신이 없다 보니 무려 5개월 만에 같은 주제의 포스팅을 마무리하는 상황이다. 5월 들어 조금 짬이 나서 어떻게든 마무리를 짓겠다 마음 먹어서, 그나마 마무리 하는 상황이다. When to Log 'Where to Log' Sub-Section다음에 이어지는 Sub-Section이다. 여기서 말하는 'WHEN'은 현재 동작하는 PostgreSQL이 Log를 남기는 조건을 나타낸다. 설정 사항이 3가지 밖에 없고 그 중에서 log_min_duration_statement만 자주 설정을 변경할 여지가 있다. log_min_messages, log_min_messages_statement ; log_min_messages는 어떤 Leve.. PostgreSQL Log 설정 - 1 PostgreSQL 공식 문서에서 Log에 대한 부분은 설명이 잘 되어 있다. 다만 설정해야 하는 property들이 너무 많고 몇몇 Property 들은 서로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떻게 설정해야 되는 지 조금은 어렵게 느껴졌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개인적인 지식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필자가 사용하는 버전 9.6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버전 별로 약간의 차이만 있으니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식 문서에서도 설명이 잘된 편이니 아래 Reference를 잊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영문 Manual 한글 ManualLog에 대한 기본 설정은 대부분 postgre.conf 의 ERROR REPORTING AND LOGGING section에서 이루어 지며, 이 secti.. Spring Boot 2 Logging 설정 잡설2년 만에 프로젝트 새로 만들어서 개발하려고 했더니... 환경 구성하는 것부터 버벅거리면서 한참을 헤맸다. 그 김에 작은 거 하나하나 좀 정리해가려 한다. 개발 환경여기서 사용되는 예제는 다음 환경에서 작성되었다.STS 3.9.0 (Eclipse Oxygen 4.7.0)Spring Boot 2.1JDK 1.8Gradle 맛보기Spring Boot 2.x 에서는 굉장히 쉽게 기본적인 Logging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일단 File - New Spring Stater Project 를 선택해서 Project Name, Group Name, Artifact 등을 정하고 Next를 누르면 Boot Version과 Dependencies를 선택하는 메뉴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Core - Lombok을.. 이전 1 다음